1. 보호계전기(Protection relay) 역할과 구비조건
1. 보호계전기 역할
1) 신속한 고장 제거
2) 사고파급 방지
3) 신속한 계통복구
2. 보호계전기의 구비조건
1) 신속성(Speed)
고장이 발생 시 계통의 안정과 설비손상 및 고장구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히 차단한다.
2) 검출강도(Sensitivity)
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감도 이상이어야 한다.
3) 선택성(Selectivity)
고장 구간만 선택 차단하여 다른 건전 구간의 운전을 유지한다.
@보충설명
· 계전기는 일반적으로 PT, CT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한다.
· OCR은 전류만 필요하고 OVR은 전압만 필요로 하지만 방향성계전기는 전류,전압 모두 필요로 한다.
예를들어 OCR은 일정전류 크기를 넘어가게되면 동작하고, OVR은 일정전압 크기를 넘어가면 동작한다.
· 반면 방향성계전기는 크기뿐만 아니라 위상까지 함께 본다.
· 통상 전력계통은 양단전원이기 때문에 크기만 보고 동작하면 정전범위가 너무 넓어지니
꼭 필요한 부분만 차단시키기 위해서는 크기와 위상특성을 함께보는 방향성계전기를 적용한다.
4) 신뢰성(Reliability)
보호구간 내 고장에 대해 오동작 하지 않고 정동작하여야 한다.
- 정동작: 계전기가 동작해야 할 경우에 동작하는 것
- 정부동작: 계전기가 동작하지 말아야 할 경우에 동작하지 않는 것
- 오동작: 계전기가 동작하지 말아야 할 경우에 동작한 것
→ 산업용계통(two out of two, two out of three)
- 오부동작: 계전기가 동작하여야 할 경우에 동작하지 않는 것
→ 유틸리티(one out of two)
@보충설명
· 보통 산업용계통(공장)에서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 계통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
아래와 같이 계전기 3개를 이용하여 two out of three를 적용하며 AND조건으로 구성한다.
· 오부동작이 절대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 유틸리티(한전계통)에서는.
차단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차단되지 않으면 사고의 파급이 발생하기 때문에
계전기 둘 중 하나만 동작해도 동작하는 one out of two를 적용하며, OR조건으로 구성한다.
5) 후비보호(Backup)
고장구간의 계전기, 차단기 등의 불량으로 부동작 할 때, 타 보호장치 또는 다른 변전소의
계전기로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.
(현장백업, 원단백업)
6) 중첩성(Overlapping zone)
· 보호되지 않는 구간(Blind zone)이 존재하지 않도록 보호구간(Zone)을 중첩한다.
· CT의 설치위치는 차단기와 보호구간을 포함한다.
@보충설명
만약 보호구간을 아래와 같이 잡았을 경우 차단기 근처에서 고장이 발생해도 어느 변류기도 감지하지
못하는 보호맹점이 존재하게 된다.